라데온 RX 7900 XTX vs RX 9070 XT: 1440p 게이밍 최적 선택은? (가격·중고시세·고질병·벤치 예측)
rx-7900-xtx-vs-rx-9070-xt-1440p
라데온 RX 7900 XTX와 RX 9070 XT를 1440p 기준으로 정밀 비교. 실성능 경향, 발열·고질병(7900 XTX VC 이슈, 9070 XT 써멀젤), 신품·중고가격(국내 단가), 5800X3D+QHD 게이밍 FPS 예측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라데온 7900XTX, 라데온 9070XT, RX 7900 XTX, RX 9070 XT, 1440p 그래픽카드 추천, 라데온 중고 시세, 5800X3D 그래픽카드 추천, 디아블로4 1440p, 디비전2 1440p, 패스오브엑자일2 1440p
라데온 RX 7900 XTX vs RX 9070 XT — 1440p 최적 선택 가이드
마지막 업데이트: 2025-09-12 (KST)
한눈에 요약
RX 7900 XTX
- 래스터 성능은 여전히 우세 (대체로 9070 XT 대비 앞섬). :contentReference[oaicite:0]{index=0}
- TBP 355W, 24GB/384-bit 대용량 메모리.
- 과거 레퍼런스 한정 베이퍼챔버(VC) 결함 이슈 존재(해결·교환 대상). :contentReference[oaicite:2]{index=2}
RX 9070 XT
- RDNA 4로 RT/AI 성능 향상, RT에서 7900 XTX 앞서는 장면 다수. :contentReference[oaicite:3]{index=3}
- TBP 304W, 16GB/256-bit — 효율·발열 밸런스 양호. :contentReference[oaicite:4]{index=4}
- 일부 기가바이트 초기 로트 써멀젤 관련 온도 이슈 사례. :contentReference[oaicite:5]{index=5}
스펙 & TBP 비교
항목 | RX 7900 XTX | RX 9070 XT |
---|---|---|
아키텍처 | RDNA 3 (N5+N6) | RDNA 4 (N4P) |
메모리/버스 | GDDR6 24GB / 384-bit | GDDR6 16GB / 256-bit |
대역폭 | 960 GB/s | 640 GB/s |
TBP(공식) | 355 W | 304 W |
MSRP(출시가) | $999 | $599 |
스펙·TBP·MSRP 출처: Tom’s Hardware 9070 XT 리뷰 표(스펙·TBP·MSRP) 및 AMD 7900 XTX 제품 페이지. :contentReference[oaicite:6]{index=6}
실성능 경향 (1440p 기준)
- 래스터: 7900 XTX가 대체로 앞섬(평균 수%~한 자릿수대 초중반 리드, 타이틀 의존). :contentReference[oaicite:7]{index=7}
- 레이 트레이싱: RDNA4 개선으로 9070 XT가 7900 XTX를 상회하는 테스트 다수. :contentReference[oaicite:8]{index=8}
- AI/업스케일링: 9070 XT는 FSR 4/AFMF 2 등 최신 스택 이점. (리뷰 코멘트 및 RDNA4 소개 참고) :contentReference[oaicite:9]{index=9}
국내 신품·중고 가격 스냅샷 (2025-09-12 기준)
신품 최저가(다나와)
- RX 7900 XTX: 약 127만~132만원 구간 확인.
- RX 9070 XT: 약 94만~115만원 구간(모델별 변동). :contentReference[oaicite:11]{index=11}
중고 매물 예시(실제 게시 링크)
번개장터 — 7900 XTX
- 사파이어 NITRO+ 79만~99만원대 사례 다수. 예: 880,000원, 830,000원, 990,000원(2025-08-30). :contentReference[oaicite:12]{index=12}
번개장터 — 9070 XT
- 스틸레전드/프라임/머큐리 등 82만~100만원대 다수. 예: 검색 목록. :contentReference[oaicite:13]{index=13}
중고나라 — 9070 XT
- 어로스 엘리트/스틸레전드 83만~118만원 게시 다수. 예: 9070XT 어로스 엘리트, 9070XT 스틸레전드. :contentReference[oaicite:14]{index=14}
당근/퀘이사존/쿨엔
- 당근은 지역·로그인 제약이 잦아 검색 노출 편차 큼(직거래 권장). 퀘이사존/쿨엔 커뮤니티는 가격 토론·사용기 참고 용도로 유용. :contentReference[oaicite:15]{index=15}
* 중고가는 시세 변동·거래 조건(영수증/보증 잔여/채굴 유무/상태)에 따라 ±10~20% 흔들립니다. 실구매 전 정품 보증기간·시리얼 확인을 꼭 권장합니다.
각 제품 ‘고질병’·주의점
RX 7900 XTX
- 레퍼런스 한정 VC 결함: 일부 배치 베이퍼챔버 쿨러 불량으로 핫스팟 110°C 및 스로틀링 → 교환대상 공지. AIB 비레퍼런스는 해당 없음. :contentReference[oaicite:16]{index=16}
- 멀티모니터 고아이들 전력: RDNA3 초기에 관찰되었으나 23.7.1 등 드라이버로 개선(사양·설정에 따라 잔존 사례 보고). :contentReference[oaicite:17]{index=17}
RX 9070 XT
- 기가바이트 써멀젤 이슈: 일부 모델에서 써멀젤→패드 교체 시 VRAM 약 7°C 개선 보고(수정은 사용자 책임). :contentReference[oaicite:18]{index=18}
- 코일 노이즈/간헐적 블랙스크린: 사용자 레포트 존재(모델·세팅 편차, 드라이버 업데이트 권장). :contentReference[oaicite:19]{index=19}
내 PC(5800X3D · QHD 144Hz · FSR·성능 우선)에서의 FPS 예측
다음 수치는 공개 벤치의 상대 지표(Tom’s·ComputerBase 등)와 동일 해상도/프리셋에서의 평균 격차를 기반으로, 5800X3D의 강한 게이밍 성능을 가정해 산출한 보수적 추정 범위입니다(실게임 구간·패치·드라이버·FSR 품질·V-Sync/프레임캡 유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contentReference[oaicite:20]{index=20}
게임 (1440p·높음·FSR: 품질) | RX 7900 XTX (예상 평균 / 1% Low) | RX 9070 XT (예상 평균 / 1% Low) | 메모 |
---|---|---|---|
톰 클랜시 디비전 2 | 180~220 / 130~160 FPS | 160~205 / 120~150 FPS | 엔진 특성상 CPU 의존 구간 존재 |
디아블로 4 | 200~240 / 140~170 FPS | 185~225 / 130~160 FPS | 대체로 CPU 한계로 프레임캡 권장 |
패스 오브 엑자일 2 | 100~180 / 70~110 FPS | 95~170 / 65~100 FPS | 씬·군중 밀도에 따른 프레임 스파이크 큼 |
래스터 기준에서 7900 XTX가 평균 수%~10%p 내외 우세, RT 가미·AFMF 활용 시 9070 XT가 체감 격차를 줄이거나 역전하는 장면도 존재. :contentReference[oaicite:21]{index=21}
추천 결론
래스터 깡성능·여유 메모리 중시
RX 7900 XTX
- QHD 144Hz 이상에서 최고 프레임 지향
- 24GB VRAM/384-bit로 텍스처·모드 여유
- 단, 과거 레퍼런스 VC 이슈는 비레퍼 모델/정상 개체 확인 권장
RT·업스케일링/프레임생성·효율
RX 9070 XT
- RDNA4 RT/AI로 신기능 체감 향상
- TBP 304W로 발열·전력 관리 수월
- 일부 AIB 써멀젤 이슈·코일음 등 개체 편차 체크
FAQ
Q1. 1440p만 본다면 7900 XTX vs 9070 XT 중 무엇?
대부분의 래스터 중심 게임에서는 7900 XTX가 약간 더 높은 평균 FPS를 냅니다. 다만 RT 사용/FSR4·AFMF를 적극 활용한다면 9070 XT 체감이 좋아질 수 있습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22]{index=22}
Q2. 7900 XTX의 110°C 핫스팟 이슈는 아직 심각한가요?
과거 레퍼런스(MBA) 일부 배치의 베이퍼챔버 결함이 원인이었으며 AMD가 원인 인정·교환을 진행했습니다. AIB 커스텀은 해당 없음이 일반적입니다. 중고 거래 시 레퍼런스 여부·AS 잔여 확인이 중요합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23]{index=23}
Q3. 9070 XT의 ‘써멀젤’ 문제는 뭔가요?
일부 기가바이트 모델에서 써멀젤→패드 교체 시 VRAM 온도 개선 보고가 있습니다. 제조사 입장은 성능·수명 영향이 크지 않다는 취지이며, 자가 개조는 보증과 리스크를 동반합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24]{index=24}
참고 출처
- Tom’s Hardware — RX 9070 XT 리뷰/스펙 표/성능 코멘트. :contentReference[oaicite:25]{index=25}
- AMD — RX 7900 XTX 제품 사양(24GB·384-bit·TBP).
- 다나와 — 7900 XTX, 9070 XT 가격 비교 페이지. :contentReference[oaicite:27]{index=27}
- 번개장터 — 7900 XTX, 9070 XT 실제 매물 예시. :contentReference[oaicite:28]{index=28}
- 중고나라 — 9070 XT 매물 검색 결과. :contentReference[oaicite:29]{index=29}
- 7900 XTX VC 이슈 — AMD 인정/교환 관련 보도. :contentReference[oaicite:30]{index=30}
- RDNA3 고아이들 전력 드라이버 개선(23.7.1 등). :contentReference[oaicite:31]{index=31}
- 기가바이트 9070 XT 써멀젤 보도. :contentReference[oaicite:32]{index=32}
- ComputerBase — 9070 XT vs 7900 XTX 1440p 격차(약 5% 내외). :contentReference[oaicite:33]{index=33}
현재·실구매 링크
아래 버튼은 다나와(신품)·번개장터/중고나라(중고) 검색 결과로 연결됩니다. 결제 전 모델명·보증·시리얼을 꼭 확인하세요.
※ 파트너/리셀러별 카드할인·쿠폰·재고에 따라 가격은 수시 변동됩니다. 중고 거래는 안전결제·직거래와 영수증/AS 잔여/시리얼 확인을 권장합니다.
게임별 세부 프리셋
기본 가정: 5800X3D + 32GB + QHD 144Hz, 프리셋 ‘높음’ 기반, FSR: 품질. 필요 시 소폭 타협만으로 1% Low를 다듬습니다.
톰 클랜시: 디비전 2 DX12 FSR: 품질 RT: 없음
- 렌더러: DirectX 12 / 해상도: 2560×1440 / 프레임캡: 144
- 반드시 낮추기: Volumetric Fog 중, Local Reflections 중
- 유지: Geometry/LOD 높음, Textures 높음, Anisotropic 16x, SSAO/HBAO+ 높음
- 비활성: Motion Blur, Chromatic Aberration, V-Sync
디아블로 4 RT: 반사 On 권장(9070 XT 유리) FSR: 품질
- 그래픽 프리셋: 높음 / FSR: 품질 / 프레임캡: 144
- RT 세부: Ray-Traced Reflections 중, RT Shadows 중(필요 시 낮음)
- 품질·지연 균형: 프레임생성(사용 시) → 입력지연 증가 주의, PvP/보스 컨텐츠는 Off 권장
- 텍스처/스트리밍: 텍스처 품질 높음(VRAM 16–24GB 여유 충분)
패스 오브 엑자일 2 RT: 없음 FSR: 품질 엔진병목 주의
- 렌더러: Vulkan(권장) → 스터터 있으면 DX12로 교체 테스트
- 그림자/조명: Shadows 중, Contact Shadows 끔 또는 중, Light Quality 중
- 군중·이펙트: Effect/Particles 중, Screen Space Effects 중
- 텍스처: 높음, Anisotropic 16x 유지, FSR: 품질
- 안정화 팁: 허브/군중씬 1% Low 개선을 위해 프레임캡 141~144, 드라이버 프리로드/게임 재시작 주기화
드라이버·툴 팁
- Adrenalin: 최신 버전 유지(게임 프로필별 FSR·전력한계·팬커브 분리 관리)
- 전력·소음: 전력제한 -10~15% & 가벼운 언더볼팅으로 성능 손실 최소·발열/소음 개선
- FSR 4: RDNA4(9070 XT)에서 지원 확대. 타이틀별 품질은 품질/균형 위주로 테스트 권장
Excellent breakdown, I completely agree with the challenges you described. For our projects we started using an AI-driven system called AI link building by OptiLinkAI, and it has simplified the entire process. It’s refreshing to see technology finally making link acquisition smarter, not just faster.